본문 바로가기

Music

[남자] 가성과 카운터테너, 그리고 카스트라토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에 시대의 관습 상, 여자들은 무대에 오를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무대에는 소프라노와 알토의 역할을 맡을 사람이 꼭 필요했죠. 그 역할을 '카스트라토'가 담당했습니다. 카스트라토는 변성기 이전의 소년을 거세시켜 성대와 울림이 성인 남자처럼 변하지 않게 하는 최선의 방법이었습니다.

카스트라토 주제의 영화 파리넬리의 한장면

  이 카스트라토는 대게 고아이거나 빈곤한 가정에서 태어난 아이들 중에서 선발되었습니다. 카스트라토로 선발된 아이들은 대게 6세에서 8세가 되면 거세 시술을 받았습니다. 그들이 점점 자라나면서 골격은 성인 남성처럼 변하였지만 목소리와 성대는 소년 그대로 였습니다. 성인 남성의 골격을 타고 나온 목소리가 어린아이의 소리와 같이 깨끗하고 밝아서 힘있게 멀리까지 쭉 뻗어 나갔다고 합니다. 힘찬 소리와 울림 그리고 기교는 당시 화려한 오페라에서 빛을 발했습니다. 몬테베르디(Monteverdi), 헨델(Handel), 글룩(Gluck)등이 카스트라토를 위한 오페라를 만들었죠. 음악을 위해서 거세를 당해야했던 카스트라토는 18세기 무렵 4000명에 달했다고 합니다. 

  어떻게보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남자 소프라노는 음악사에 있어서 비극적인 주인공일 수도 있습니다. 오늘날, 카스트라토는 없습니다. 카운터 테너는 있죠. 카스트라토가 19세기 초 법적으로 금지되면서 이들 대신 카운터테너가 인기를 얻기 시작했습니다.

  소리내는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카스트라토는 '거세'를 통해서 변성기 전의 소리를 유지하지만 카운터테너는 '거세 없이' 변성기 후, 가성을 훈련합니다. 가성(Falsetto)이란, 말 그대로 가짜 소리입니다. 진짜 소리가 성대를 붙여서 자기가 갖고있는 본연의 목소리를 내는 것이라면, 가짜 소리란 성대의 붙임 없이 호흡을 사용해서 바로 소리를 두성으로 보내는 창법입니다. 

  19세기 말부터 교회에서 여자들도 노래를 할 수 있게 되자 카운터 테너의 역할은 자연스레 사라지는 듯 했습니다. 하지만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작곡 당시의 연주양식을 되살린다'는 '원전(原典)연주'가 유행하면서 다시 한 번 부흥기를 맞고 있습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에도 성악도를 선발할 때, 입시 단계부터 카운터 테너를 한명씩 뽑습니다. 이들을 반드시 선발해야만 하는건 아니지만 원전 연주를 할 경우, 그래도 카운터테너의 음성이 필요한 곡들이 하나씩 꼭 있기 때문입니다. 

  여자도 남자도 아닌 듯한 오묘한 소리가 매력적입니다. 유투브 등에서 한 번 들어보세요. 유명한 카운터테너로는 독일의 안드레아스 숄(Andreas Scholl), 혼혈 브라이언 아사(Brian asawa), 미국의 데이비드 대니얼스(David Daniels)등이있습니다.